과정소개
학습대상
학습목표
본 과정은 모든 영유아 교육기관의 교직원이 기본업무 이해 및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을 익히고, 나아가 지속적인 훈련 과정을 통해 현장 적응 능력을 높이고자 교육내용 중심으로 전달하고자 한다.
[과정목표]
- 교육 · 보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미래사회 진단과 시대적 요구의 검토에 대해 이해한다.
-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현장에 반영할 수 있다.
- 영유아의 발달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영역별 발달 내용에 대해 이해한다.
- 영유아 관찰의 다양한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영유아평가의 실제에 대해 이해한다.
- 영유아의 관찰기록에 대해 이해하고 교수전략에 대해 이해한다.
- 영유아간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해 이해하고 영유아와의 적절한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한다.
- 놀이의 필요성에 대한 최근 경향에 대해 이해하고 놀이지도와 놀이치료를 위한 교사의 역할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.
- 인성 및 인성교육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인성교육의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.
-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창의성 발달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.
- 기본생활지도 및 유의사항에 대해 이해하고 교육유형에 대해 이해한다.
- 자기밖에 모르는 아이의 행동유형과 유형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도법에 대해 이해한다.
- 집단면담과 개별면담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고 불만이 있는 부모와의 면담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.
- 부모상담의 실제에 대한 학습을 통해 부모의 유형별 상담법을 알고 상황에 맞게 상담을 진행 할 수 있다.
교수소개
이름 : 성본희
<소속> 호반 2차 어린이집
<학력>
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석사졸업
<경력>
호반 2차 어린이집
파밀리에 어린이집
학습내용
차시 | 내용 |
---|---|
1차시 | 보육의 이해 |
2차시 | 신생아 발달 |
3차시 | 0세의 발달 |
4차시 | 만1·2세 발달 |
5차시 | 만3·4세 발달 |
6차시 | 만5세 발달과 관찰의 실제 |
7차시 | 영유아 관찰과 평가의 실제 |
8차시 | 영아 관찰의 실제 |
9차시 | 만3·4세 관찰의 실제 |
10차시 | 영아와의 상호작용 |
11차시 | 유아와의 상호작용 |
12차시 | 상호작용의 촉진 |
13차시 | 자유선택 놀이에서의 상호작용 |
14차시 | 놀이의 발달 |
15차시 | 놀이지도 1 |
16차시 | 놀이지도 2 |
17차시 | 가정, 지역 그리고 숲과의 연계 |
18차시 | 놀이치료 1 |
19차시 | 놀이치료 2 |
20차시 | 문제행동 지도 |
21차시 |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성 1 |
22차시 |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성 2 |
23차시 |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성 1 |
24차시 |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성 2 |
25차시 |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성 3 |
26차시 | 바른 성장을 위한 기본생활 지도 |
27차시 | 편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도 1 |
28차시 | 편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도 2 |
29차시 | 과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도 |
30차시 | 배변 훈련 아이를 위한 지도 |
31차시 | 수면거부 아이를 위한 지도 |
32차시 | 비사회적 행동지도 1 |
33차시 | 비사회적 행동지도 2 |
34차시 | 부모면담 1 |
35차시 | 부모면담 2 |
평가기준
평가항목 | 진도율 | 시험 | 과제 | 진행단계평가 | 수료기준 |
---|---|---|---|---|---|
평가비율 | - | 90% | 0% | 10% | - |
수료조건 | 80%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60점 이상 |